Project development using cursor & mcp
Cursor와 MCP로 프로젝트 개발하기
Cursor의 AI Agent 기능과 MCP(Multi-modal Communication Protocol)의 연동 능력을 활용하여 프로젝트 기획, 설계, 개발, 그리고 Notion 및 GitHub를 통한 협업 관리까지의 전 과정을 예시 프롬프트를 통해 보여주기위한 목적이 있습니다.
https://github.com/724thomas/vibe_coding_cursor-mcp
Step1. 프로젝트 목표 및 범위 정의
/Generate Cursor Rules # Tasks - 프로젝트 목표 및 범위 정의 문서를 룰 파일로 작성해줘.
# 문제점 - 온라인 쇼핑을 할 때 특정 상품에 대한 최저가를 찾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귀찮아서 대신 검색해서 리스트업 해 줄 Agent가 필요해 - 프로토타입용 최대한 단순한 챗봇형태로 만들고 싶어
# 항목 - 목표, 범위 - 항목외에는 작성하지마
*이미 기획 및 설계 문서가 있다면 해당 내용 기반으로 요약 및 정리해 달라고 하면 됩니다. *모든 과정을 직접 검수해야 합니다. *Rule Type 설정: Agent Requested, 상품 최저가 검색 에이전트 PRD (Product Requirements Document)
Step2. 사용자 시나리오 MDC 작성 시키기
/Generate Cursor Rules # Task - 사용자 시나리오 룰 파일 작성해줘. - 룰 파일에 mermaid로 다이어그램 그려줘
# 참고할 파일들 - @목표및범위.mdc
# 항목 - 페르소나, 정황, 사용자의 목표, 사용자의 작업 및 행동, 시나리오, 기대효과 또는 결과 - 항목외에는 작성하지마
Step3. 요구사항 정의서 MDC 작성 시키기
/Generate Cursor Rules # Task - PRD 룰 파일 작성해줘
# 요구사항 - 프로토타입용 단순한 챗봇형태 - 챗봇 응답은 실시간 스트리밍 SSE 방식 - 멀티턴으로 과거 대화 내용 참조하여 응답 - langgraph의 pre-built된 react agent 사용 - 상품명을 자유롭게 입력 - 직접 쇼핑몰에서 스크래핑하지 말고 MCP 인터넷 검색툴들 연동해서 검색 - 검색된 상품들의 가격이나 할인 배송 정보 구매링크 등 가져와서 리스트업해서 보여주기 - agent와 파싱은 LLM gemini-2.5-flash-preview-05-20 로 개발 - 1회성이라서 데이터베이스는 따로 사용할 필요 없어 - 인증 연결안할거고 보안도 신경쓰지마
# 참고할 파일들 - @목표및범위.mdc, @사용자시나리오.mdc
# 항목 - 제품 개요 및 목적, 핵심 고객/사용자, 문제 정의, 비즈니스 목표 및 성공 지표, 요구사항(기능/비기능), 유저 흐름 및 시나리오, 제약사항 및 전제조건, 성공의 정의(KPI) - 항목외에는 작성하지마
Step4. 기술스택 문서 MDC 작성 시키기
/Generate Cursor Rules # Task - 기술 스택 룰파일 작성해줘
# 기술 스택 - language: python 3.11 - backend(api): fastapi - frontend: streamlit ## Agent - langgraph, langsmith - mcp tools: Naver search, Exa search - llm: gemini-2.5-flash-preview-05-20 - memory: 랭그래프 로컬 메모리 모듈
# 참고할 파일들 - @prd.mdc
# 항목 - 프론트엔드, 백엔드, Agent - 항목외에는 작성하지마
Step5. 시스템 아키텍처 MDC 작성 시키기
/Generate Cursor Rules # Task - 시스템 아키텍처 그려줘 - 다이어그램은 룰 파일에 mermaid로 그려줘
# 참고할 파일들 - @prd.mdc, @기술스택.mdc
# 항목 - 아키텍처 구성요소, 계층 구조, 모듈화 및 컴포넌트, 데이터 흐름, API 및 인터페이스, 시스템 외부 환경과의 관계 - 항목외에는 작성하지마
Step6. UX 와이어프레임 MD 작성 시키기
프롬프트 예시
# Task - UX 와이어프레임 md 파일 docs폴더에 작성해줘 - 와이어 프레임은 SVG 파일로 따로 만들어서 룰 파일에 삽입시켜줘 - 웹 ux만 그려줘
# 참고할 파일들 - @prd.mdc, @시스템아키텍쳐.mdc
# 항목 - ux 와이어 프레임 - 항목외에는 작성하지마
Step7. API 명세서 MDC 작성시키기
/Generate Cursor Rules # Task - 심플하게 api 명세서 룰 작성해줘 - 테이블로 작성해줘 - 인증, 권한, 보안 등 내용은 빼줘
# 참고할 파일들 - @prd.mdc, @시스템아키텍쳐.mdc
# 항목 - 엔드포인트 URL, HTTP 메서드, 요청 파라미터, 요청 예시, 응답구조 - 항목외에는 작성하지마
Step8. 폴더 구조 작성
/Generate Cursor Rules
# Task - 프로젝트 폴더 구조를 룰 파일에 폴더트리 형태로 작성해줘 - 심플하게 백엔드, 프론트엔드 나눠서 Layered Structure 스타일로 설계해줘 - 각 폴더에 __init__.py 파일 추가하고 - 가장 기본적인 스켈레톤 코드 파일 목록만 나열해줘
# 참고할 파일들 - @prd.mdc, @api.mdc
# 항목 - 폴더 트리 - 항목외에는 작성하지마
Agent Requested
Step9. 태스크 정의 MDC 작성시키기
/Generate Cursor Rules # Task - 개발 task를 정의해줘 - 테이블 형태로 작성하고 해당 테이블 채팅화면에도 그려줘 - 태스크를 큰 단위로 정의해줘
# 참고할 파일들 - @prd.mdc, @api.mdc, @system-architecture.mdc, @tech-stack.mdc
# 항목 - task id, title, description, status, dependencies, priority, details, test_strategy - 항목외에는 작성하지마
Step10. 커서에서 노션 문서화
Cursor Settings > Features > Enable auto-run mode
2. 노션에 태스크 ToDo List 추가
# Task - 태스크 정보를 노션 Database 추가해서 작성해줘. Task의 Details 컬럼은 각 태스크 페이지 안에 추가로 작성해줘 - database에 assign 컬럼도 추가하고 빈값으로 세팅해줘
# 참고 파일 - @task.mdc

Step11. 기본 개발 원칙 MDC 작성 (development-policy.mdc)
Rule Type: Always
# 개발 원칙 및 가이드라인 1. SOLID 원칙 지키기 2. Clean Architecture 따르기 3. 파일과 함수는 최대한 작은 단위로
# 태스크별 필수 개발 프로세스 (TDD)
개발 시작
- 1.1. 테스트 코드 작성 - 1.2. 코딩 - 1.3. 테스트 시작 - 1.4. 테스트 에러 없을때까지 반복 수정
현재 태스크의 전체 파일 작성 완료하면 현재 태스크에 포함된 모든 테스트 진행 - 2.1. 테스트 에러 없을때까지 반복 수정
Step12. 스켈레톤 코드 개발 계획 작성
/Generate Cursor Rules # Task
- 스켈레톤 코드 개발 계획 룰 파일 작성해줘 - 기술 관련해서는 Context7 mcp 활용해서 작성해 - 계획 룰 파일안에 소스코드는 작성하지마 - 패키지 버전 명시하지마 - 개발 계획은 간단하게 개발할 기능명만 순서대로 작성해줘 - 더미 데이터로 전체 동작하도록 계획 - 룰 파일 명: skeleton-development-plan.mdc
# 작성 항목 - 개발 계획
# Context Files - @development-tasks.mdc @api-specification.mdc @tech-stack.mdc
Step13. 스켈레톤 코드 개발 시작
# Task
skeleton-development-plan.mdc 이 스켈레톤 코드 계획 파일대로 순차적으로 개발진행해줘
개발 원칙룰의 # 태스크별 필수 개발 프로세스 (TDD) 순서대로 잘 지켜서 개발해
requirements.txt에는 패지키 버전 명시하지마 최신버전 설치되도록 해
지금 cursor에서 파이썬 인터프리터 파이썬 3.11로 세팅한 상황이니까 다른 가상환경 활성화 하거나 하지마
Step14. N번 태스크 개발 계획 작성
/Generate Cursor Rules # Task - n번 태스크 개발 계획 룰 파일 작성해줘 - 계획 룰 파일안에 소스코드는 작성하지마 - 패키지 버전 명시하지마 - 필요할 경우 Context7 MCP로 기술 관련 내용 검색해서 참고해 - 개발 계획은 간단하게 개발할 기능명만 순서대로 작성해줘 - 룰 파일 명: taskN-plan.mdc
# 작성 항목 - 구현 항목, 기술 스택 및 라이브러리, 개발 계획 # Context Files - @development-tasks.mdc @tech-stack.mdc
Step15. N번 태스크 개발 시작
# Task
@taskN-plan.mdc 이 태스크 개발 계획대로 순차적으로 개발진행해줘
context7 mcp 활용해서 개발해줘
개발 원칙룰의 @development-policy.mdc TDD 개발 순서 그대로 작업해
requirements.txt에는 패지키 버전 명시하지마 최신버전 설치되도록 해
복잡한 구조로 개발하지말고 불필요한 모듈화 과하게 하지 말고 최대한 심플하게 개발해
Step16. 디버깅
에러로그가 나오는 경우:
1. 일반적인 경우 - 에러 로그를 그대로 복사해서 Agent Chat에게 해결해 달라고 부탁 2. 에러 로그를 알려줘도 잘 해결하지 못하는 경우 - Agent Chat에게 에러가 발생한 재현 시나리오를 상세하고 설명 - 직접 디버깅 해보고 원인을 알려주거나 직접 수정 - 모델을 바꿔가면서 문의 3.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버그인 경우 - 직접 수정
에러로그가 나오지 않는 경우
- Agent Chat에게 에러가 발생한 재현 시나리오를 상세하고 설명 - 에러 로그가 나오도록 디버깅 코딩을 해달라고 부탁
Step17. Agent 통합 테스트
.env 파일에 키 입력
fastapi, streamlit 따로 실행
전체 태스크 개발이 완료되면 통합 테스트 진행
디버깅이 필요할 경우 잘 판단하여 Agent에게 맡기거나 직접 해결
Step18. 협업 개발환경 세팅
# Task - 깃헙 관련 개발 진행해줘 - .gitignore 추가(있으면 제외) - pr 및 이슈 관리 룰 추가 (.cursor/rules)
## github actions 추가 1. 테스트 코드 자동 실행 액션 (on push and pr, main branch) 2. pr comment (자등 댓글 등록) 액션 3. pr assigner(자동 할당) 액션 4. pr labeler(라벨 자동등록) 액션 5. pr 코드 리뷰 자동 등록 액션 6. 이슈 커멘트 자동 등록 액션 7. 이슈 assigner 자동할당 액션 8. 이슈 labeler 자동 등록 액션
Step19. 협업 실습
# 기본 세팅
1. 깃헙 mcp 연동상태 확인 2. 깃헙 저장소 생성 및 소스 연동 (저장소 이름 자유롭게) 3. 소스코드 메인브랜치에 커밋 & 푸시
# Pull Request 테스트
1. pr_test 브랜치 생성 > 테스트용으로 소스 수정 > 커밋 & 푸시 > pr 생성 2. PR 리스트 가져와서 확인 후 커멘트 달고 머지
# 이슈 관리 테스트
1. main 브랜치에서 버그 만들어서 테스트 2. 에러 발생하면 main 브랜치 push 후 버그 내용 이슈 등록 3. 이슈 가져와서 확인 후 커멘트 남기기 4. 새브랜치 생성> 버그 수정 > 커밋 & 푸시 > PR 생성 5. PR 리스트 가져와서 확인 후 커멘트 달고 머지 6. 이슈 상태 closed로 업데이트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