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C vs CISC
ARM과 x86 아키텍처의 주요 차이점
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vs 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주요 차이점
명령어 세트의 복잡성:
CISC: 복잡한 명령어 세트를 포함하며, 이로 인해 단일 명령어가 여러 연산을 수행하거나 여러 단계를 거쳐 실행될 수 있습니다.
RISC: 간단하고 최소한의 명령어 세트를 가지며, 명령어는 보통 고정된 길이를 가지고 있고 단순하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실행 사이클:
CISC: 명령어마다 다양한 수의 클럭 사이클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RISC: 대부분의 명령어는 한 클럭 사이클에 실행됩니다.
하드웨어 vs 소프트웨어:
CISC: 많은 연산이 하드웨어 레벨에서 처리되기 때문에, 컴파일러는 덜 복잡할 수 있습니다.
RISC: 소프트웨어나 컴파일러가 연산의 최적화와 스케줄링에 더 큰 역할을 합니다.
코드의 크기:
CISC: 복잡한 명령어들로 인해 실행 코드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습니다.
RISC: 더 많은 명령어가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코드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클 수 있습니다.
개발의 배경
CISC: 초기의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메모리와 저장 공간이 비싸고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효율적인 코드 생성을 위해 복잡한 명령어 세트가 필요했습니다.
RISC: 성능 향상을 위해 명령어 파이프라이닝과 병렬 처리를 적용하기 용이하도록 명령어 세트를 최소화하려는 목적으로 발전했습니다.
대표적인 예
CISC: 인텔의 x86 아키텍처
RISC: ARM, MIPS, SPARC 등
이러한 구분은 이론적인 것이며, 현대의 프로세서 설계에서는 RISC와 CISC의 경계가 모호해진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인텔의 x86 아키텍처는 전통적으로 CISC로 분류되지만, 내부적으로 RISC와 유사한 기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Last updated